기타

보복운전의 대표적 사례, 억울하게 신고당한 보복운전구제방법은?

세이버행정사 2021. 10. 13. 02:58

안녕하세요! 세이버행정심판(http://www.lawsaver.co.kr) 대표 행정사입니다.

 

1. 보복운전이란?

 

보복운전은 자동차를 이용하여 피해자에게 특수협박, 특수상해, 특수폭행, 특수손괴의 죄를 저지른 경우를 의미하며,

 

보복운전을 하게 될 경우 운전면허정지 또는 취소처분을 받게 되고, 형사적으로 최대 1천만원이하 또는 최대 10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.

 

2. 보복운전에 적발되는 대표적 사례

 

① 피해차량 앞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행동

② 피해차량을 뒤에서 또는 옆에서 밀어붙이는 행동

③ 칼치기

④ 창문을 내리고 죽여버리겠다는 등의 험한 욕설을 하는 행동

⑤ 물건을 던지는 행동

 

3. 억울한 보복운전 구제방법(무죄받는 방법)

(1) 경찰 및 검찰로부터 무혐의처분을 이끌어내기

피해자의 오해로 혹은 악의적으로 보복운전으로 신고를 하여 억울하게 처벌을 받을 위기에 처한 경우, 우선 경찰 및 검찰조사시 자신의 억울함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고, 피해자가 신고를 하게 된 경위를 파악하여 피해자 주장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내용을 서면으로 준비하여 제출하는 식의 적극적인 법적대응을 하여 경찰 혹은 검찰로부터 무혐의처분이 내려질 수 있는 노력을 해야합니다.

(2) 정식재판청구

검찰이 무혐의를 인정하지 않고 약식기소(벌금형)를 한 경우, 법원에 정식재판을 청구하여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여야 합

니다. 정식재판은 법원으로부터 약식명령을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청구할 수 있습니다.

4. 보복운전 혐의를 인정하는 경우(보복운전 감경방법)

(1) 검찰로부터 기소유예처분을 통한 운전면허구제

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의 사유로 입건된 경우 난폭운전 및 보복운전을 할 수 밖에 없었던 부득이한 사정이 있었다거나, 고의성이 없었다는 점 등 정상참작이 가능한 부분을 정리한 의견서를 경찰 및 검찰에 제출할 경우 검찰로부터 기소유예처분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.

만약 기소유예처분을 받게 되면 다음과 같은 헤택을 볼 수 있습니다.

* 운전면허가 취소된 경우 --> 1년이라는 결격기간이 소멸돼 바로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음.
* 운전면허가 정지된 경우 --> 정지처분이 바로 종료 돼 그 즉시 운전을 할 수 있게 됨.

(2) 행정심판을 통한 운전면허구제

보복운전의 사유로 운전면허가 취소된 사람이 경찰청의 행정처분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운전면허가 취소된 사실을 안나로부터 90일 이내에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, 운전면허취소처분의 부당성이 인정될 경우 취소된 면허가 살아나게 됩니다.

 

 

 

<< 운전면허구제 무료상담전화 >>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저희 행정사 사무소에서는 운전면허구제에 대해 전화 무료상담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
자신의 면허구제 가능성에 대해 궁금하신 분께서는 전화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무료상담전화 : 02-841-5453

보복운전구제 성공사례 보러가기 --> http://www.lawsaver.co.kr

 

 

 

#보복운전,#보복운전처벌,#보복운전대표적사례,#보복운전면허정지구제,#보복운전구제방법,#억울한보복운전구제방법,#보복운전처벌,#보복운전벌금,#보복운전기소유예,#보복운전무혐의처분